【※기간 연장】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자 모집 안내

서울시는 임산부·맞벌이·다자녀 가정의 가사노동 부담을 줄이고 일·생활 균형 지원을 위한 ‘서울형 가사서비스’를 지원합니다.힘든 집안일을 <서울형 가사서비스>가 덜어드립니다~

지원대상 서울 거주 중위소득 150% 이하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 – (임산부 가구) 임신~출산후 1년이내 가구 – (맞벌이가구)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무하는 가구 – (다자녀가구) 공고일 기준 미성년 자녀(만 18세 이하)가 2인 이상인 가구 ※ 2004년 6월 20일 출생자부터 해당 지원규모 약 13,000가구 지원(자치구별 상이) 지원내용 가정방문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 – 거주하는 곳(방,거실) 및 주방, 화장실, 화장실청소, 청소, 세탁, 청소, 세탁물청소 및 가정내 세탁물청소, 질병 등의 사유로 가족돌봄 공백 발생 시 지원횟수 1가구당 총 6회(회당 4시간, 30분 휴식시간 포함)

지원대상 서울 거주 중위소득 150% 이하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 – (임산부 가구) 임신~출산후 1년이내 가구 – (맞벌이가구)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무하는 가구 – (다자녀가구) 공고일 기준 미성년 자녀(만 18세 이하)가 2인 이상인 가구 ※ 2004년 6월 20일 출생자부터 해당 지원규모 약 13,000가구 지원(자치구별 상이) 지원내용 가정방문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 – 거주하는 곳(방,거실) 및 주방, 화장실, 화장실청소, 청소, 세탁, 청소, 세탁물청소 및 가정내 세탁물청소, 질병 등의 사유로 가족돌봄 공백 발생 시 지원횟수 1가구당 총 6회(회당 4시간, 30분 휴식시간 포함)

ㅇ 이용요금 : 무료(본인부담금 없음) ㅇ 서비스 절차

온라인서비스 신청(23년 6월 27일 오픈예정) 이용자 자격심사 이용자 선정 및 가사관리사 매칭서비스 이용(6회) 및 만족도 조사 이용자 동주민센터 서비스 운영업체(자치구 협력) 이용자□ 신청 안내 ※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 ’23월 6일 27일(화)신청기간’23월6일27일(화)10:00부터~’23월11일10일(금)※예산소진시 조기종료 신청방법 훼미리서울(familyseoul.or.kr ) 또는 서울형 가사서비스(seoulgasa.or.kr )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 및 증빙서류 제출 신청 절차 –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페이지 접속 → 회원가입 → 자가진단 → 개인정보제공 동의 → 로그인 → 서비스 신청 → 정보입력 → 증빙서류 첨부 → 최종제출서류 부착 2 참조 *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 발급원칙 증빙서류 제출서류 미기재서류 제출자에 대한 서류제출의무 통지서 또는 제출의무 있음□ 기타 유의사항 ㅇ 부적격 또는 서비스 중단 대상 – 신청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–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않거나 증빙서류를 잘못 제출한 경우 – 신청정보를 허위로 제출하거나 속여 제출한 경우 – 서울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(타 시도로 전출하는 경우) – 유사 서비스를 받은 경우 ※ 자치구 임산부 가사서비스 선택1) ※ 자치구 임산부(대상자)에게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 불가(자치구 임산부 가사서비스 또는 서울형 가사서비스 선택1) ※ 자치구 임산부 가사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동일 연도에 서울형 가사서비스 중복신청 불가(차년도 맞벌이·다자녀 분야 신청 가능) – 단, 2022년도까지 자치구 임산부 가사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금년도 서울형 다자녀·맞벌이 분야는 신청 가능 – 서비스 영역이 아닐 것을 요구하는 등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□ 권역별 문의처 ※거주자치구 소관 권역별 운영업체 문의운영회사 권역 자치구 전화번호 (사)한국가사노동자협회 종로구, 중구, 용산구, 성동구, 광진구, 동대문구, 서대문구, 1566-7390 참사랑어머니회, 마포구 마포구 은평시 양천시 강서 02-3473-0508 사회적협동조합 강북나눔돌봄센터 강북성북과 도봉 노원 1660-4766-4766-4766-8476번지문의 종로구 노인여성과 02-2148-2331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